최근, 인플루엔자(독감) 유행 수준이 올해 기준의 1.7배 수준에 이르렀다는 소식이 전해져왔습니다.
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오는 15일 독감 유행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.
올해는 여름철에도 독감 유행이 이어져 처음으로 지난 해 발령한 유행주의보 해제 없이 새 절기 시작부터 유행 주의보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.
1. 독감 유행 수준 상승벨이 울렸다
질병관리청은 2023-2024 절기 독감 유행주의보를 새로 발령한다고 밝혔습니다.
최근 1주간 독감 의사환자분율이 외래환자 1000명당 11.3명으로, 새 절기 유행 기준인 6.5명의 1.7배에 이르렀습니다.
독감 의사환자분율은 전국 의원급 호흡기감염병 표본감시 결과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사환자 수를 나타냅니다.
일반적으로 독감 유행주의보는 매년 9월에 발령되어 다음 해 8월에 해제되는데, 지난해는 2019년 이후 3년 만에 전국에 독감 유행주의보를 발령하였고, 그 이후 지난달 말까지 이어져, 1년간이나 이어진 것입니다.
2. 유행의 특이성: 소아 학령기 유행
이번 유행은 지난해 발령 당시 보다 1.6명이 늘었고, 코로나19 이전인 2018-2019절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행하고 있습니다.
이번 유행이 특이한 이유 중 하나는 소아 등 학령기에서 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
이달 첫째 주 7 ~12세에서 25.3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
13세 ~18세 13.6명, 1~6세 12.9명 순으로 상당한 수준입니다.
독감 유행 주의보 발령에 따라 소아와 임신부, 65세 이상 고령자,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환자는 검사 없이 '타미플루' 등 항바이러스제에 건강보험 요양급여가 적용됩니다.
3. 국가 예방 접종, 시작한다
질병청은 독감에 대한 국가예방접종을 생후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 중 독감 예방접종을 생애 처음 받는 경우에 해당되는 2회 접종 대상 소아부터 20일부터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1차 접종 후 4주 이후에는 2차 접종도 필요합니다.
1회 접종만 하면 되는 소아와 임신부는 다음달 5일부터 내년 4월30일까지 접종할 수 있습니다.
고령자의 경우 75세 이상은 10월11일부터,
70 ~ 74 세는 10월 16일부터,
65~ 69세는 10월19일부터 무료로 독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예방접종이 만능은 아닙니다.
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, 씻지 않은 손으로 눈·코·입을 만지지 않는 것, 기침예절 지키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4.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면역 감소
지영미 질병청장은 "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은 독감 유행이 없어 지역 사회 내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자연면역이 감소하였다"고 전했습니다.
즉,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에 대한 긴장감이 완화되고 환기 부족 등의 이유로 독감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
지영미 질병청장은 "동절기 독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올해 9월20일부터 시작되는 독감 국가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"며 "독감 합병증 발생이 높은 임신부와 생후 6개월~만 13세의 어린이 대상자들은 그 일정 중 가급적 이른 시기에 예방접종을 완료해 달라"고 당부했습니다.
겨울철 질환 중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인 독감은 우리 모두가 철저한 예방과 대비로 이겨내야 할 과제입니다. 항상 건강한 일상을 위해 우리 모두가 상호 협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어나가는 삶이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, 건강한 하루하루를 기원합니다.
'[일반 상식] > [시사 상식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리비아 대홍수, 발생 원인과 현 상황 (0) | 2023.09.15 |
---|---|
여경 팔굽혀펴기 기준 정상화, 만점 기준은? (0) | 2023.09.15 |
한국에 반지하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, 반지하의 유래에 대해 (0) | 2023.09.15 |
IMF의 한국에 대한 경고, 가계부채가 가장 심각한 국가 (0) | 2023.09.15 |
배우 김상경씨와 타운하우스 주민들의 선행이 주목받다 (0) | 2023.09.15 |